맨위로가기

휘그당 (미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휘그당은 1830년대 초 앤드루 잭슨 대통령의 정책에 반대하여 결성된 미국의 정당이다. 헨리 클레이를 중심으로 국립은행 지지 세력과 잭슨의 독단적인 국정 운영에 반대하는 세력이 결집하여 창당되었으며, '휘그'라는 당명은 왕권에 반대하는 영국 정당에서 유래되었다. 휘그당은 1840년 윌리엄 헨리 해리슨, 1848년 재커리 테일러를 대통령으로 배출했으나, 노예제 문제에 대한 내부 분열로 1850년대에 쇠퇴하여 해체되었다. 휘그당은 국립은행, 고관세, 사회 기반 시설 투자를 통한 경제 발전을 추구했으며, 법치주의와 소수자 보호를 옹호했다. 주요 인물로는 헨리 클레이, 대니얼 웹스터, 윌리엄 헨리 해리슨, 존 타일러, 재커리 테일러, 밀러드 필모어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휘그당 (미국) - [정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테렌스 J. 케네디의 휘그당 정치 배너
테렌스 J. 케네디의 휘그당 정치 배너
이름휘그당
로고 설명테렌스 J. 케네디의 휘그당 정치 배너
창립1833년
해산1856년
전신연방주의당
국민공화당
반메이슨당
권리 박탈당 (소수)
후신공화당 (사실상)
아메리카당
반대당
헌법통일당
합병국민공화당
반메이슨당
본부워싱턴 D.C.
신문아메리칸 리뷰: 휘그 저널
색상버프
파랑
이념 및 정치적 입장
이념미국 민족주의
미국 시스템
반팽창주의
반잭슨주의
고전적 자유주의
경제 민족주의
의회주의
전통적 보수주의
정치적 위치불명
지도부
주요 지도자헨리 클레이
대니얼 웹스터
윌리엄 헨리 해리슨
재커리 테일러
의석수
상원 의석 (최고)29/52석 (1841–1843년)
하원 의석 (최고)142/242석 (1841년)

2. 역사

휘그당은 1834년 앤드루 잭슨 대통령과 민주당에 반대하는 정치 세력들이 결집하여 결성되었다. 이들은 잭슨의 정책, 특히 제2국립은행 폐쇄와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의 연방법 거부에 대한 강경 대응에 반발했다.

휘그당이라는 이름은 왕권에 반대하는 영국 정당에서 따온 것으로, 잭슨을 '앤드루 '이라고 비판하며 그의 권위주의적인 통치 방식에 저항했다. 휘그당은 헨리 클레이의 아메리칸 시스템을 지지하며, 보호관세, 국내 개량사업 추진 등 연방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을 옹호했다.

초기 휘그당은 존 퀸시 애덤스국민공화당 출신, 반프리메이슨당 출신, 그리고 일부 남부 주권론자 등 다양한 배경의 인물들로 구성되었다. 183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는 여러 명의 후보를 내세워 분열된 모습을 보였으나, 1837년 공황 이후 경제 위기를 겪으면서 지지 기반을 확대했다.

184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는 윌리엄 헨리 해리슨을 대통령 후보로 내세워 '통나무집과 사이다' 캠페인을 통해 승리하며 처음으로 정권을 잡았다. 그러나 해리슨은 취임 한 달 만에 사망하고, 부통령 존 타일러가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타일러는 휘그당의 주요 정책에 거부권을 행사하며 당과 갈등을 빚었고, 결국 휘그당에서 제명되었다.

1840년대 후반, 노예제 문제가 주요 쟁점으로 떠오르면서 휘그당은 '양심적인'(노예제 반대) 휘그당원과 '면화'(노예제 찬성) 휘그당원으로 분열되기 시작했다. 1848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는 재커리 테일러가 대통령에 당선되었지만, 1850년의 타협을 둘러싼 갈등으로 분열은 더욱 심화되었다.

1852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윈필드 스콧 후보가 대패하고, 1854년 캔자스-네브래스카 법 제정으로 북부 휘그당원 대다수가 공화당으로 이탈하면서 휘그당은 급격히 쇠퇴했다. 남은 휘그당원들은 무지당이나 헌법연합당 등으로 흡수되었고, 1860년 대선을 전후로 휘그당은 완전히 소멸했다.

2. 1. 창당 배경 (1833-1836)

1828년1832년 대통령 선거에서 존 퀸시 애덤스의 국민공화당은 민주공화당 잔당(미국 민주당)의 앤드루 잭슨에게 참패를 당하여 큰 타격을 입었다. 그러나 잭슨이 제2미국은행과 싸우고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의 연방법 거부에 정면으로 대항하자 반대파들이 결집할 기회가 생겼다.[13] 헨리 클레이는 재정에 대해 보수적인 견해를 가진 사람들 및 남부 주의 권리를 옹호하는 사람들을 모아, 보호관세나 연방정부가 지원하는 국내 개량사업 추진과 같은 국민공화당의 정책이 타당하다고 믿는 사람들과 제휴했다. 이렇게 탄생한 휘그당에는 1830년대 중엽에 사라진 반(反)프리메이슨당 출신의 반프리메이슨 운동가들도 합류했다.[14] 앤드루 잭슨 대통령을 '앤드루 '이라고 부르면서 그의 독재적인 행정에 반대하여 느슨한 제휴관계를 맺고 있던 집단들이 휘그당의 깃발 아래 모여들었다.[15] 휘그당이라는 이름은 왕의 특권에 반대하는 영국 정당에서 따온 것이었다.[16]

2. 2. 초기 발전 (1836-1841)

183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휘그당은 여러 명의 후보를 내세워 분열된 모습을 보였다. 동부의 대니얼 웹스터, 남부의 휴 L. 화이트, 서부의 윌리엄 헨리 해리슨이 각각 지역 기반 후보로 출마하여 표를 분산시키고 하원에서 결선 투표를 하려는 전략을 세웠지만 실패했다.[38]

1837년 공황으로 인한 경제 위기는 마틴 밴 뷰렌 대통령의 지지율을 하락시켰고, 이는 휘그당에게 기회로 작용했다. 휘그당은 184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윌리엄 헨리 해리슨을 대통령 후보로 지명하고, '통나무집' 이미지를 내세운 선거 운동을 통해 승리했다.[46] 이로써 휘그당은 백악관과 의회를 장악하고 헨리 클레이의 국가주의적 계획을 추진할 준비를 마쳤다.[48]

그러나 해리슨은 취임 한 달 만에 사망했고, 부통령 존 타일러가 대통령직을 승계했다.[50] 타일러는 휘그당의 주요 정책에 거부권을 행사하며 당과 갈등을 빚었고, 결국 1841년 휘그당에서 제명되었다.[53]

2. 3. 전성기와 분열 (1841-1850)

1840년, 휘그당은 전쟁 영웅 윌리엄 헨리 해리슨을 대통령 후보로 지명하여 '통나무집' 이미지를 앞세운 선거 운동으로 승리했다. 휘그당은 백악관과 의회를 장악하고 헨리 클레이의 국가주의적 계획을 추진하려 했다.[48] 그러나 해리슨은 취임 한 달 만에 사망했고, 부통령 존 타일러가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타일러는 미국은행 재설립 등 휘그당의 주요 입법에 거부권을 행사하며 당과 갈등을 빚었고, 결국 1841년 9월 13일 당에서 제명되었다.[50][53]

1844년, 휘그당 대통령 후보 헨리 클레이는 텍사스 합병에 반대하여 제임스 포크에게 패배했다.[64] 1840년대 말, '양심적인'(노예제 반대) 휘그당원과 '면화'(노예제 찬성) 휘그당원 간의 파벌 갈등이 심화되었다.[64] 1848년, 휘그당은 재커리 테일러를 대통령 후보로 내세워 승리했지만, 1850년의 타협으로 양심적인 휘그당원들이 당에서 소외되었다.

2. 4. 쇠퇴와 해체 (1850-1860)

1850년 타협으로 노예제 문제를 둘러싼 갈등이 일시적으로 봉합되는 듯했으나, 이는 휘그당 내 '양심적인'(노예제에 반대하는) 휘그당원들을 소외시키는 결과를 낳았다.[85]

1852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휘그당은 윈필드 스콧 장군을 대통령 후보로 지명했지만, 노예 문제를 둘러싼 북부와 남부의 대립 심화로 인해 '미국 헌법과 연방에 대한 변함없는 애착'이라는 휘그당의 슬로건은 더 이상 전국적인 호소력을 갖지 못했다. 많은 남부 휘그당원들은 주권(州權)을 주장하는 민주당으로 합류했고, 스콧은 겨우 42명의 선거인을 얻는 데 그쳤다.[85]

1854년, 캔자스-네브래스카 법 제정으로 북부 휘그당원 대다수가 노예제 반대를 내세운 신생 정당인 공화당으로 합류했다. 남은 휘그당원들은 주로 남부의 경계주 출신 보수주의자들이었으며, 이들은 1850년대 후반 국수주의적인 무지당(Know Nothing)에 합류했다.[85]

1860년 미국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남북으로 분열된 정당 구도 속에서, 일부 휘그당원들은 헌법연합당을 결성하여 활로를 모색했으나, 결국 휘그당은 소멸했다.[85]

3. 이념 및 정책

휘그당은 헨리 클레이가 제창한 아메리칸 시스템을 지지했다. 아메리칸 시스템은 국립은행 설립, 고율 관세 부과, 사회 기반 시설 확충을 위한 연방 자금 지원을 통해 미국의 경제 성장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141] 휘그당은 국립은행을 통해 통일된 통화를 제공하고, 안정적인 신용 공급을 보장하며, 민간 투자를 유치하고자 했다.[142] 또한, 고율 관세를 통해 국내 제조업을 육성하고 외국 수입 의존도를 낮추고자 했다.[7]

휘그당은 연방 토지 판매 수익을 각 주에 분배하는 '분배' 정책을 선호했으며,[143] 연방 정부가 상업과 문화를 통합하는 데 필요한 교통 체계를 건설해야 한다고 믿었다.[141]

휘그당은 금주 운동에 대해 민주당보다 더 호의적이었고,[144] 이민에 대해서는 덜 호의적인 견해를 보였다.[145] 미국-멕시코 전쟁 등 새로운 영토 획득에는 반대하는 경향이 있었다.[147]

3. 1. 아메리칸 시스템

헨리 클레이가 제창한 아메리칸 시스템은 국립은행 설립, 고율 관세 부과, 그리고 연방 정부의 재정 지원을 통한 사회 기반 시설 확충을 골자로 하는 경제 정책이었다.[141] 휘그당은 이 정책을 통해 미국의 급속한 경제 및 산업 성장을 도모하고자 했다.[141]

휘그당은 국립은행을 통해 통일된 통화를 제공하고, 안정적인 신용 공급을 보장하며, 민간 투자를 유치하고자 했다.[142] 또한, 고율 관세를 통해 수입을 늘리고 국내 제조업을 육성하여 외국 수입 의존도를 낮추고자 했다.[7] 이러한 고율 관세는 부정적인 무역수지를 방지하고, 국가로부터 통화와 신용이 유출되는 것을 막는 역할도 했다.[7]

휘그당은 연방 정부가 국가를 상업적, 문화적으로 통합하는 데 필요한 교통 체계를 건설해야 한다고 믿고, 연방 정부의 재정 지원을 통한 국내 기반 시설 개선을 지지했다.[141] 이러한 정책들은 당시 신흥 산업 국가였던 미국의 경제 성장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3. 2. 노예제 문제

휘그당은 노예제 문제에 대해 심각한 내부 갈등을 겪었다. 북부 휘그당원들은 대체로 노예제에 반대하는 '양심적인' 휘그당원이 많았고, 일부는 노예제 폐지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도 했다.[81] 반면 남부 휘그당원들은 노예제를 옹호하는 '면화' 휘그당원이었으며, 노예제 유지를 위해 연방 탈퇴를 주장하는 경우도 있었다.[63]

1840년대 말, '양심적'(노예제에 반대) 휘그당원과 '면화'(노예제에 찬성) 휘그당원이라는 파벌이 나타나면서 휘그당의 결속은 무너지기 시작했다.[63] 1850년 타협은 양심적 휘그당원들을 당에서 완전히 소외시켰다.[63]

1850년대에 노예제 반대파와 찬성파의 대립이 격화되면서, 1854년 캔자스-네브래스카 법 제정으로 북부 휘그당의 대부분은 당을 떠나 새로 발족한 노예제 반대파인 공화당으로 이동했다.[63] 남부에서는 휘그당이 사실상 소멸했다.

3. 3. 기타 정책

휘그당은 연방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을 강조하며 중앙집권적인 정책을 추진했다. 교육과 문화 등 사회 전반에 걸쳐 정부가 더 많은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호레이스 만(Horace Mann)이 주도한 매사추세츠주의 공립학교 시스템 설립과 같이 공립학교 설립을 통해 교육 기회를 확대하고자 했다.[140]

휘그당은 민주당에 비해 이민에 대해 소극적인 입장을 보였다.[145] 1840년대 중반에는 귀화 요건을 강화하고 이민자들의 이동을 감시하는 법안을 추진하기도 했으나, 이는 실패로 돌아갔다.[146] 이러한 휘그당의 움직임은 일부 당원들이 본토주의 제3당에 가입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146]

4. 주요 인물

미국 휘그당은 1834년 앤드루 잭슨 대통령의 정책에 반대하는 여러 정치 세력이 연합하여 결성되었다. 이들은 잭슨을 '앤드루 '이라고 부르며 그의 독재적인 행정에 반대했고, 왕의 특권에 반대했던 영국휘그당의 이름을 따서 당명을 지었다.[34]

휘그당의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이 외에도 존 퀸시 애덤스,[34] 휴 L. 화이트,[37] 윌리엄 캐벨 라이브스,[40] 서로 웨드,[44] 존 J. 크리텐든,[77] 데이비드 윌못,[72] 윌리엄 M. 머서디스,[86] 토머스 코윈,[93] 윌리엄 수어드,[95] 존 C. 프레몬트,[110] 존 벨,[117] 에드워드 에버렛,[117] 제퍼슨 데이비스,[123] 에이브러햄 링컨,[127] 루터퍼드 B. 헤이스,[127] 체스터 A. 아서,[127] 벤자민 해리슨,[127] 호레이스 그릴리,[128] 존 H. 올드리치,[130] 존 버트,[136] 호레이스 만,[140] 존 맥 파라거,[148] 존 마셜 헐런,[164] 존 맥린,[168] 알렉산더 H. 스티븐스,[171] 로버트 툼스,[171] 존 M. 베리언,[171] 존 보츠,[177] 찰스 서머,[181] 헨리 윌슨,[181] 찰스 프랜시스 애덤스[181] 등이 휘그당에서 활동했다.

4. 1. 헨리 클레이

헨리 클레이는 휘그당 창당을 주도하고 당의 이념과 정책을 정립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 인물이다. 그는 '아메리칸 시스템'을 제창하여 휘그당의 경제 정책 방향을 제시했으며, 여러 차례 대통령 후보로 출마했으나 당선되지는 못했다.[161] 그는 뛰어난 웅변가이자 협상가로, 1850년 타협을 성사시키는 등 노예제 문제를 둘러싼 갈등을 중재하기 위해 노력했다.[161]

4. 2. 대니얼 웹스터

헨리 클레이와 함께 휘그당을 이끈 대표적인 정치인이다.[162] 그는 뛰어난 연설가이자 헌법학자로 명성을 떨쳤으며, 세 명의 휘그당 대통령 아래에서 국무장관을 역임하며 외교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162] 웹스터는 1839년 휘그당 전국 대회에서 대통령 후보 지명을 두고 경쟁하였으나, 윌리엄 헨리 해리슨에게 밀려났다.[44] 이후 웹스터-애슈버턴 조약 체결 후 내각에서 사임하였다.[57] 그는 노예제 문제에 대해 온건한 입장을 취했으며, 연방의 유지를 위해 타협을 강조했다. 1850년 타협을 지지하여 매사추세츠 유권자들의 분노를 사기도 했다.[93]

4. 3. 윌리엄 헨리 해리슨

1839년 휘그당 전국 대회에서 헨리 클레이를 제치고 대통령 후보로 지명된 윌리엄 헨리 해리슨184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의 마틴 밴 뷰렌을 꺾고 당선되었다.[48] 해리슨은 '통나무집과 사이다' 캠페인을 통해 서민적인 이미지를 내세웠다.[46] 휘그당은 또한 밴 뷰렌의 경제 운영을 공격하며, 국립은행 부활과 보호 관세율 시행과 같은 정책이 경제 회복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47] 하지만 해리슨은 취임 한 달 만에 사망했고, 부통령 존 타일러가 대통령직을 승계했다.[48]

4. 4. 존 타일러

윌리엄 헨리 해리슨이 대통령에 당선되고 한 달 만에 사망하자, 부통령이었던 존 타일러가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타일러는 원래 민주당 출신이었으나, 앤드루 잭슨 대통령과의 갈등으로 휘그당에 합류했다. 그러나 그는 휘그당의 주요 정책에 반대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미국은행 재설립을 비롯한 휘그당의 주요 입법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하면서 당내 갈등을 일으켰다. 결국, 존 타일러는 휘그당에서 제명되었다.[45]

4. 5. 재커리 테일러

1848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미국-멕시코 전쟁의 영웅인 재커리 테일러를 대통령 후보로 내세워 휘그당은 승리했다.[49] 테일러는 윌모트 조항 문제를 피하고자 멕시코 할양지의 토지를 준주 정부를 조직하기에 앞서 주로 편입할 것을 제안했다.

4. 6. 밀러드 필모어

재커리 테일러 대통령이 1850년에 사망하자 부통령이었던 밀러드 필모어가 대통령직을 승계했다.[90] 존 타일러와 달리 필모어는 의회 의원들과 대중들 사이에서 대통령으로서의 정통성과 권위를 널리 인정받았다.[91] 필모어는 테일러 내각 전체의 사임을 수락했고,[92] 1850년 타협을 지지하여 매사추세츠 유권자들의 분노를 산 대니얼 웹스터와 같은 휘그당 지도자들을 임명했다. 필모어의 지지와 초당적, 초지역적 연합의 지원을 받아 텍사스의 국경에 대한 최종 합의를 제공하는 상원 법안이 통과되었다.

상원은 캘리포니아 편입, 뉴멕시코 준주 조직, 새로운 도망 노예법 제정을 규정하는 법안을 신속하게 통과시켰다. 1850년 타협으로 알려지게 된 이 법안은 곧 하원에서도 통과되었다.[93] 뉴멕시코, 유타 및 기타 준주에서 노예 제도의 미래는 불확실하게 남아 있었지만, 필모어는 1850년 타협을 지역 문제에 대한 "최종 해결"이라고 묘사했다.[94]

1850년 타협이 통과된 후, 필모어의 1850년 도망 노예법 집행이 그의 행정부의 중심 문제가 되었다. 휘그당은 필모어와 웹스터와 같은 타협 지지파와 도망 노예법 폐지를 요구한 윌리엄 수어드와 같은 반타협파로 심하게 분열되었다.[95]

필모어의 도망 노예법 집행은 북부에서 그를 인기 없게 만들었지만, 남부에서는 상당한 지지를 유지했다. 한편, 웹스터 장관은 오랫동안 대통령직을 갈망했고, 건강이 좋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백악관을 차지하기 위한 마지막 시도를 계획했다. 윈필드 스콧 장군이라는 세 번째 후보가 등장했는데, 그는 많은 북부인들의 지지를 얻었지만, 윌리엄 수어드 상원의원과의 관계 때문에 남부 휘그당에게는 받아들일 수 없는 인물이었다.

1852년 휘그당 전당대회의 첫 번째 대통령 투표에서 필모어는 필요한 147표 중 133표를 얻었고, 스콧은 131표, 웹스터는 29표를 얻었다. 필모어와 웹스터의 지지자들은 어느 한 후보를 지지하기 위한 합의를 이끌어내지 못했고, 스콧은 53번째 투표에서 후보 지명을 획득했다.

5. 대한민국과의 관계 및 영향

휘그당은 대한민국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었지만, 그들의 이념과 정책은 간접적으로 대한민국 정치에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특히, 휘그당이 추구했던 경제 발전 모델은 개발도상국이었던 대한민국에 시사하는 바가 컸다. 정부 주도의 경제 개발 정책은 박정희 정부의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등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141] 휘그당은 국립은행, 고관세, 분배 정책 및 사회기반시설 프로젝트에 대한 연방 자금 지원을 통해 미국의 급속한 경제 및 산업 성장을 추구했는데, 이는 대한민국 경제 개발 정책과 유사점을 보인다.

6. 평가 및 유산

휘그당은 19세기 중반 미국의 주요 정당 중 하나였으나, 노예제 문제에 대한 내부 분열로 인해 쇠퇴하고 해체되었다. 하지만 휘그당이 추구했던 정책들은 이후 미국의 정치와 경제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평가휘그당은 헨리 클레이의 아메리칸 시스템을 지지하며, 국립은행 설립, 보호 관세, 국내 기반 시설 확충 등을 통해 미국의 경제 발전을 추구했다. 이러한 정책들은 특히 20세기 초 미국의 경제 성장에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141] 휘그당은 또한 도덕적 진보와 물질적 진보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고 믿었으며, 프로테스탄트 종교와 선교 활동, 공립학교 설립 등을 통해 사회의 도덕성을 높이고자 했다.[138]

그러나 휘그당은 노예제 문제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정하지 못하고 내부 분열을 겪었다. '양심적인'(노예제 반대) 휘그당원과 '면화'(노예제 찬성) 휘그당원 간의 갈등은 결국 당의 쇠퇴로 이어졌다.[178] 1850년대 중반, 캔자스-네브래스카 법을 계기로 북부 휘그당원들은 대거 공화당으로 이탈했고, 남은 휘그당원들은 무지당이나 입헌연방당으로 흡수되면서 휘그당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99]
유산휘그당은 소멸했지만, 그들이 남긴 유산은 미국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경제 정책: 아메리칸 시스템은 이후 미국의 경제 정책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에이브러햄 링컨 행정부에서 공화당을 통해 상당 부분 실현되었다.[127]
  • 정당 정치: 휘그당의 흥망성쇠는 정치적 이념과 노선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오늘날의 정당 정치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 현대화: 휘그당의 현대화 정책 지향은 재건 시대 동안 주 정부의 현대화 정책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25]


휘그당은 남북전쟁이라는 격동의 시기를 거치면서 사라졌지만, 그들이 추구했던 가치와 정책들은 미국의 정치, 경제, 사회에 깊은 흔적을 남겼다.

7. 역대 선거 결과

휘그당은 여러 차례 대통령 선거와 총선에 참여하여 주요 정당으로서의 입지를 다졌다.

1836년 대선에서는 대니얼 웹스터, 휴 L. 화이트, 윌리엄 헨리 해리슨 등 세 명의 후보를 내세워 지역별 지지를 확보하려 했으나, 표 분산으로 하원 결선 투표 전략은 실패했다.[34][35][36]

1840년 대선에서 윌리엄 헨리 해리슨은 마틴 밴 뷰런을 꺾고 휘그당 최초의 대통령이 되었다.


1840년 대선에서는 전쟁 영웅 윌리엄 헨리 해리슨을 대통령 후보로 지명, '통나무집' 이미지를 앞세운 선거 운동으로 승리했다.[46] 휘그당은 백악관과 의회를 장악하고 헨리 클레이의 국가주의적 계획안을 추진하려 했으나, 해리슨은 취임 한 달 만에 사망했다.[49][50]

존 타일러 대통령은 의회 휘그당 의원들과 갈등을 빚어 당에서 제명되었다.


해리슨의 뒤를 이어 대통령이 된 부통령 존 타일러는 미국은행 재설립 등 휘그당의 주요 입법에 거부권을 행사했고, 결국 당에서 제명되었다.[51][52][53]

1844년 대선에서는 헨리 클레이가 텍사스 합병에 반대하다 제임스 포크에게 패배했다.[60][61][64]

재커리 테일러는 미국-멕시코 전쟁에서 복무했으며, 이후 휘그당 후보로 1848년 대선에서 승리했다.


미국은 과달루페 이달고 조약을 통해 텍사스-멕시코 국경을 확정하고 현재 7개 주의 일부 지역을 획득했다. 현재 애리조나주와 뉴멕시코주 일부는 1853년 가즈던 매입을 통해 후에 획득되었다.


1848년 대선에서는 다시 전쟁 영웅 재커리 테일러를 내세워 승리했다.[77][80] 그러나 1850년 타협으로 당내 분열은 심화되었다.[81]

1848년 대선에서 재커리 테일러 또는 윈필드 스콧의 출마를 풍자한 정치 만화


1852년 대선에서는 윈필드 스콧 장군을 후보로 지명했지만, 노예 문제를 둘러싼 남북 갈등 심화로 패배했다.[84] 이후 많은 북부 휘그당원들은 미국 공화당으로 합류했고, 남은 당원들은 무지당이나 입헌연방당을 지원했다.

휘그당은 미국 시스템을 지지하며 국립은행, 고관세, 분배 정책,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연방 자금 지원을 통해 미국의 경제 성장을 추구했다.[141][142]

선거후보선거 결과
대통령 후보부통령 후보득표율선거인단 득표수순위
1836윌리엄 헨리 해리슨프랜시스 그랜저36.6%732
휴 로슨 화이트존 타일러9.7%263
대니얼 웹스터프랜시스 그랜저2.7%144
윌리 퍼슨 맨검존 타일러0%115
1840윌리엄 헨리 해리슨존 타일러52.9%2341
1844헨리 클레이시어도어 프릴링하이젠48.1%1052
1848재커리 테일러밀러드 필모어47.3%1631
1852윈필드 스콧윌리엄 알렉산더 그레이엄43.9%422
1856밀러드 필모어앤드류 잭슨 도넬슨21.5%83



의회연도rowspan=13 |상원[190]rowspan=13 |하원[191]rowspan=13 |대통령
총합민주당휘그당기타공석총합민주당휘그당기타공석
제25회1837–183952351724212810014마틴 밴 뷰런
제26회1839–18415230222421251098
제27회1841–18435222291242981422존 타일러
제28회1843–1845522329223147724
제29회1845–18475834222228142797제임스 K. 포크
제30회1847–184960382112301101164
제31회1849–18516235252233113108111재커리 테일러
제32회1851–185362362332331278521밀러드 필모어
제33회1853–18556238222234157716프랭클린 피어스
의회연도총합민주당반대당기타공석총합민주당반대당기타공석대통령
제34회1855–185762392122348310051프랭클린 피어스


7. 1. 역대 총선

년도하원 득표수하원 득표율하원 의석상원 의석대통령 후보/대통령
1834704,22943.6%야당
1836731,62746.5%야당
1838989,71249.7%야당
18401,089,60951.0%윌리엄 헨리 해리슨
1842905,91044.2%존 타일러
18441,143,30544.8%야당
18461,033,50644.5%야당
18481,231,32044.8%재커리 테일러
18501,105,28641.9%밀러드 필모어
18521,308,03141.6%야당
18541,084,98633.6%야당


7. 2. 당 출신 대통령

대통령임기초상비고
윌리엄 헨리 해리슨1841년
1840년 대통령 선거에서 통나무집 이미지를 앞세운 유세로 승리했으나, 취임 한 달 만에 사망했다.
존 타일러1841년 - 1845년--해리슨의 사망으로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미국은행 재설립 등 휘그당 주요 입법에 거부권을 행사한 후 탈당했다.
재커리 테일러1849년 - 1850년1848년 대통령 선거에서 전쟁 영웅 이미지로 승리했으나, 재임 중 사망했다.
밀러드 필모어1850년 - 1853년--테일러의 사망으로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1850년 타협에 서명하여 노예제 찬반 양측의 갈등을 심화시켰다.


참조

[1] 서적 (서적 제목 미상)
[2] 서적 (서적 제목 미상)
[3] 웹사이트 American System https://www.u-s-hist[...] 2022-03-03
[4] 서적 (서적 제목 미상)
[5] 웹사이트 Whig Party https://www.history.[...] History 2019-11-20
[6] 웹사이트 Whig Party https://northcarolin[...] 2024-07-29
[7] 서적 (서적 제목 미상)
[8] 서적 (서적 제목 미상)
[9] 서적 (서적 제목 미상)
[10] 서적 (서적 제목 미상)
[11] 서적 Gale Researcher Guide for: The Second Party System Gale, Cengage Learning
[12] 웹사이트 Major American Political Parties of the 19th Century https://online.norwi[...]
[13] 서적 (서적 제목 미상)
[14] 서적 (서적 제목 미상)
[15] 서적 (서적 제목 미상)
[16] 서적 (서적 제목 미상)
[17] 서적 (서적 제목 미상)
[18] 서적 (서적 제목 미상)
[19] 서적 (서적 제목 미상)
[20] 서적 The New Hate: A History of Fear and Loathing on the Populist Right
[21] 서적 (서적 제목 미상)
[22] 서적 (서적 제목 미상)
[23] 서적 (서적 제목 미상)
[24] 서적 Andrew Jackson
[25] 서적 (서적 제목 미상)
[26] 서적 (서적 제목 미상)
[27] 서적 The Party Battles of the Jackson Period https://www.gutenber[...] Houghton Mifflin Co. 2024-07-07
[28] 서적 (서적 제목 미상)
[29] 서적 (서적 제목 미상)
[30] 서적 (서적 제목 미상)
[31] 서적 (서적 제목 미상)
[32] 서적 (서적 제목 미상)
[33] 서적 The Politicians and the Egalitarians: The Hidden History of American Politics
[34] 서적 (서적 제목 미상)
[35] 서적 (서적 제목 미상)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50] 서적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58] 서적
[59] 서적
[60] 서적
[61] 서적
[62] 서적
[63] 서적
[64] 서적
[65] 서적
[66] 서적
[67] 서적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71] 서적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79] 서적
[80] 서적
[81] 서적
[82] 서적
[83] 서적
[84] 서적
[85] 서적
[86] 서적
[87] 서적
[88] 서적
[89] 서적
[90] 웹사이트 VP Millard Fillmore https://www.senate.g[...] 2017-02-27
[91] 서적
[92] 서적
[93] 서적
[94] 서적
[95] 서적
[96] 서적
[97] 서적
[98] 서적
[99] 서적
[100] 서적
[101] 서적
[102] 서적
[103] 서적
[104] 서적
[105] 서적
[106] 서적 Holt
[107] 서적 Holt
[108] 서적 Holt
[109] 서적 Holt
[110] 서적 Gara
[111] 서적 Holt
[112] 서적 Gara
[113] 서적 Holt
[114] 서적 Holt
[115] 서적 Parks
[116] 서적 Green
[117] 서적 Green
[118] 서적 Egerton
[119] 서적 Green
[120] 서적 Green
[121] 서적 Holt
[122] 서적 Holt
[123] 서적 McPherson
[124] 서적 The Virginia Conservatives, 1867–1879: A Study in Reconstruction Politics https://books.google[...] U of North Carolina Press
[125] 문서 The last elected politician as a Whig was Robert Miller Patton, who was the 20th Governor of the U.S. state of Alabama from 1865 to 1868.
[126] 서적 Alexander
[127] 서적 Guide to U.S. Elections https://books.google[...] CQ Press
[128] 간행물 Mobtown's Impact on the Study of Urban Politics in the Early Republic
[129] 서적 Reichley
[130] 서적 Aldrich & Griffin
[131] 서적 The Whigs' America: Middle Class Politics in the Age of Jackson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132] 서적 Agrarians and Aristocrats: Party Political Ideology in the United States, 1837–1846
[133] 서적 Holt
[134] 서적 Bowen
[135] 서적 Bowen
[136] 서적 Lincoln's Tragic Pragmatism: Lincoln, Douglas, and Moral Conflict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137] 서적 Holt
[138] 서적 Evangelicals and Politics in Antebellum America
[139] 서적 The Whigs' America: Middle Class Politics in the Age of Jackson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140] 간행물 The Whig Party and the Rise of Common Schools, 1837–1854
[141]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American Political and Legal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P
[142]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43]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44]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45]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46]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47]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48] 서적 Out of Many: A History of the American People
[149]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50]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51]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52]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53]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54]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55]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56]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57]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58]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59]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60]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61]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62]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63] 서적 The Taney Court: Justices, Rulings, and Legacy https://archive.org/[...] ABC-CLIO 2003
[164] 서적 Separate: The Story of Plessy v. Ferguson, and America's Journey from Slavery to Segregation W. W. Norton & Company 2019
[165]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66]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67]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68]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69]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70]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71]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72]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73]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74] 서적 (추가 정보 필요)
[175] 간행물 The Strange Stillbirth of the Whig Party https://www.jstor.or[...]
[176] 서적 undefined 1999
[177] 서적 undefined 1999
[178] 서적 undefined 1999
[179] 서적 undefined 1999
[180] 서적 undefined 2016
[181] 서적 Abolitionism and American Politics and Government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999
[182] 서적 Parties and Elections in America: The Electoral Proces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08
[183] 서적 undefined 2001
[184] 서적 undefined 2001
[185] 서적 The Conservative Ascendancy: How the GOP Right Made Political History 2007
[186] 서적 The Conservative Ascendancy: How the GOP right made political histor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7
[187] 웹사이트 The Florida Whig Party http://www.floridawh[...] 2014-09-22
[188] 웹사이트 Is it time for a new political party? http://outfront.blog[...] 2014-09-22
[189] 서적 Corruption and Post-Conflict Peacebuilding: Selling the Peac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1
[190] 웹사이트 Party Division https://www.senate.g[...]
[191] 웹사이트 Party Divisions of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1789 to Present https://history.hous[...]
[192] 웹사이트 ホイッグ党(アメリカ) https://kotobank.jp/[...] 2019-01-17
[193] 웹사이트 Whig Party | History, Beliefs, Significance, & Facts https://www.britanni[...] 2018-11-13
[194] 웹사이트 National Republican Party http://www.encyclope[...] Encyclopedia.com 2019-01-16
[195] 웹사이트 Whig Party https://www.britanni[...] ブリタニカ百科事典 1998-07-20
[196]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American Whig Party https://books.google[...] オックスフォード大学出版局 2003
[197] 웹사이트 The Whigs: Definition & Explanation http://study.com/aca[...] 2019-01-17
[198] 뉴스 民主党の牙城でホイッグ党の選挙管理人が誕生 米ペンシルベニア州フィラデルフィア http://www.excite.co[...] AP 2013-1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